한림대 임상치의학대학원 변수환 교수 연구팀, 치과용 콜라겐 막 임상시험 결과 국제학술지 ‘Bioengineering’ 게재
  • 작성자 : 커뮤니케이션팀
  • 조회수 : 1
  • 작성일 : 2025.08.28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한림대 임상치의학대학원 변수환 교수 연구팀, 치과용 콜라겐 막 임상시험 결과 국제학술지 ‘Bioengineering’ 게재



external_image

<사진: 왼쪽부터 한림대 백세훈 졸업생, 한림대 양병은 교수, 서울아산병원 안강민 교수, 한림대 변수환 학과장>

 

 한림대학교(총장 최양희) 임상치의학대학원 변수환 교수 연구팀은 낭종 제거 후 뼈 이식이 필요한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임상시험을 진행한 결과, 교차결합 콜라겐 막이 물리적 강도와 분해 저항성에서는 기존 막보다 우수했지만 실제 임상에서의 뼈 재생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고 밝혔으며, 이번 연구결과는 바이오·의공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Bioengineering(Impact Factor(피인용지수) 3.7)에 올 8월 게재됐다.

 

 콜라겐 막은 치과 및 구강악안면외과 수술에서 빠질 수 없는 재료인데 임플란트 식립이나 낭종 제거 후 뼈가 부족한 부위를 보강할 때, 잇몸 같은 연조직이 먼저 자라드는 것을 막아주고 새 뼈가 차오를 수 있도록 돕는다. 하지만 기존 콜라겐 막은 체내에서 빠르게 분해돼 충분한 시간 동안 기능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번 연구에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 교차결합 처리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확인하고자 했다.

 

 공동 연구팀(백세훈 졸업생, 양병은 교수, 서울아산병원 안강민 교수, 변수환 학과장)은 실험실 시험에서 교차결합 막이 12시간이 지나도 원래 무게의 20% 이상을 유지한 반면, 일반 막은6시간 이내에 완전히 분해된 사실을 확인했으며, 또한 교차결합 막은 일반 막보다 약4.6배 강한 찢김 저항력을 보여, 내구성과 안정성 면에서는 확실히 개선된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환자들을 6개월 동안 추적 관찰한 임상시험에서는 새로 형성된 뼈의 양이나 이식된 뼈의 흡수율에서 두 막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백세훈 졸업생은 교차결합 처리가 막을 더 튼튼하게 만드는 것은 사실이지만, 환자의 뼈 재생 효과가 반드시 더 뛰어난 것은 아니었다, “환자의 상태와 수술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변수환 교수는 국내 연구진이 해당 저널에 다기관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한 것은 학문적 의미가 크다,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객관적인 선택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의 결론은 교차결합 콜라겐 막은 분명히 더 강하고 오래가지만, 뼈 재생 효과에서는 기존 제품과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며, 연구팀은 장기적인 추적 관찰과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총 게시물 : 24

페이지 : 1/4